맨위로가기

우간다 내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간다 내전은 1971년 이디 아민의 쿠데타 이후 우간다에서 발생한 일련의 무력 분쟁을 통칭한다. 아민 정권의 붕괴와 1980년 총선 이후, 밀턴 오보테 정권과 반군 세력 간의 내전이 격화되었다. 요웨리 무세베니가 이끄는 민족 저항군(NRA)은 1986년 캄팔라를 점령하고 정권을 장악하여 내전을 종식시켰다. 이 과정에서 10만 명에서 50만 명에 달하는 사망자가 발생했으며, 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불안정한 상황이 지속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왕위 계승 내전 - 장미 전쟁
    장미 전쟁은 1455년부터 1487년까지 랭커스터 가문과 요크 가문의 왕위 계승 분쟁으로 시작되어 헨리 7세의 승리로 튜더 왕조가 건국되면서 종결된 일련의 내전입니다.
  • 왕위 계승 내전 - 잉카 내전
    잉카 내전은 1527년 와이나 카팍 황제 사후 그의 아들 와스카르와 아타우알파 사이의 왕위 계승 다툼으로 발발하여 아타우알파의 승리로 끝났지만, 스페인 정복자들에 의해 아타우알파가 처형되면서 잉카 제국 멸망의 원인이 되었다.
  • 우간다가 참전한 전쟁 - 제1차 콩고 전쟁
    제1차 콩고 전쟁은 모부투 세세 세코 정권의 부패와 르완다 내전의 여파로 1996년부터 1997년까지 자이르에서 일어난 분쟁으로, 르완다와 우간다의 지원을 받은 반군이 승리하여 모부투 정권을 무너뜨리고 콩고민주공화국을 수립했다.
  • 우간다가 참전한 전쟁 - 제1차 수단 내전
    제1차 수단 내전은 1955년부터 1972년까지 수단 북부와 남부 간에 벌어진 내전으로, 북부의 권력 독점과 남부 소수 민족 차별에 대한 불만이 원인이 되어 아냐냐 게릴라 군대의 무력 충돌로 이어졌으며, 1972년 아디스아바바 협정으로 종결되었으나 제2차 내전의 발발과 남수단의 독립에 영향을 미쳤다.
  • 20세기 분쟁 - 모잠비크 내전
    모잠비크 내전은 1977년부터 1992년까지 프렐리모 정부와 레나모 간에 벌어진 분쟁으로, 사회주의 정책, 부족 사회 갈등, 외부 세력 지원 등이 원인이 되어 약 100만 명의 사망자와 500만 명 이상의 난민을 발생시키고 경제적 파탄을 초래했으며, 1992년 평화 협정 체결 후에도 불안정한 평화가 이어지고 있다.
  • 20세기 분쟁 - 말레이시아 비상사태
    말레이시아 비상사태는 1948년부터 1960년까지 영국령 말라야에서 말레이시아 공산당이 독립을 목표로 게릴라전을 일으킨 사건으로, 인권 유린과 환경 문제를 야기하며 말레이시아 역사에 깊은 상흔을 남겼다.
우간다 내전 - [전쟁]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분쟁우간다 내전
일부냉전
날짜1980년 10월 6일 – 1986년 3월
장소우간다
결과NRM 승리
요웨리 무세베니 우간다의 대통령 취임
사실상의 내전 지속
교전 세력
교전국 1우간다 정부
UNLF/UPC
FEDEMU (1985년부터)
FUNA (1985년부터)
UNRF (I) (1985년부터)
UFM (1985년부터)
(1985년까지)
(1981–1985)
지원 세력:


(1984년까지)
(1984년까지)

교전국 2NRM
PRA
UFF
서부 나일 반군:
우간다군 (1980년)
UNRF (I) (1980–85년)
FUNA (1980–85년)
나일 연대
UFM (1980–83년)
FEDEMU (1983–85년)
ULM
UNLF-AD
지원 세력:




(서부 나일 반군 한정)
(주장)
(1985년부터)
지휘관
지휘관 1밀턴 오보테
티토 오켈로
데이비드 오이테-오조크
스미스 오폰 아착
바질리오 올라라-오켈로
지휘관 2국민 저항군:
요웨리 무세베니
살림 살레
샘 마가라
스티븐 카샤카
조람 무구메
페코스 쿠테사
프레드 르위게마
유수프 룰레
서부 나일 반군:
모세 알리
아민 온지
펠릭스 오나마
아이작 루마고
엘리 하산
UFMFEDEMU:
발라키 키르야
앤드루 카이이라
데이비드 르완가
병력
병력 1UNLA 및 연합 민병대:
15,000+ (1981년)
35,000–40,000 (1984년)
15,000 (1985년 말)
:
11,000 (1980년까지)
800–1,000 (1981년부터)
50 (1984년)
:
30+ (1981년)
50 (1984년)
170–700 (1985년)
병력 2우간다군:
7,100 (1980년)
NRA:
900 (1981년 12월)
4,000 (1983년 초)
10,000 (1985년 말)
부대
부대 1우간다 군대
우간다 국민 해방군
통합된 반군 그룹
친정부 민병대
인민 민병대
국가 청년군
부족 민병대
UPC 청년 준군사 조직
부대 2다수의 반군 민병대
사상자
사상자 3100,000–500,000명 사망
기타

2. 배경

1971년 밀턴 오보테 대통령이 쿠데타로 축출되고 이디 아민이 집권하면서 우간다는 혼란에 빠졌다. 아민의 독재 정치는 경제와 정치 체제를 파괴했고, 우간다-탄자니아 전쟁에서 패배하면서 1979년 축출되었다. 이후 망명 중이던 아민 반대파들이 우간다 민족 해방 전선(UNLF)을 결성하여 임시 정부를 수립했지만, 이들 역시 분열되었다. 한편, 아민을 지지하던 세력은 자이르수단으로 도피하여 재기를 노렸다.[4]

이러한 혼란 속에서 요웨리 무세베니는 대중 저항군(PRA)을 조직하고, 이후 다른 단체와 통합하여 민족 저항군(NRA)을 결성했다.[31] 아민 지지자들 역시 우간다 민족 구조 전선(UNRF) 등을 결성하여 우간다 민족 해방군(UNLA)과 대립했다.[32]

한편, 우간다 북동부는 카라모종족 집단, 우간다군 잔류 병력, 외국 약탈자들의 약탈과 폭력으로 인해 심각한 기근을 겪었다.[2] 이로 인해 36만 명 중 5만 명이 사망하는 비극이 발생했다.[9]

2. 1. 이디 아민 정권 붕괴와 그 이후

1971년, 밀턴 오보테 대통령은 쿠데타로 실각하고 이디 아민이 권력을 장악했다.[4] 오보테 정권 하에서 우간다의 생활 수준은 전반적으로 저하되었고, 부패, 파벌 폭력, 그리고 특정 민족 집단에 대한 박해가 증가했다. 아민은 전제 정치로 군사 독재를 수립하여 오보테 정권의 쇠퇴를 가속화하고 국가의 경제와 정치 체제를 파괴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아민 정권은 파벌주의와 경제 침체로 인해 점점 불안정해졌고, 반대파와 불만을 품은 우간다군은 반복적으로 봉기 또는 기타 수단을 통해 그의 정권을 전복하려 시도했다. 오보테의 충성스러운 추종자들을 포함한 여러 반대파는 줄리어스 니에레레 대통령이 이끄는 탄자니아의 지원을 받았다. 1978년, 우간다군은 탄자니아를 침공하여 이웃 국가와의 전면전으로 이어졌다. 탄자니아는 공격을 저지하고 아민 반대파를 동원하여 역공을 시작했다. 아민의 군대와 그의 리비아 동맹군은 탄자니아군과 우간다 민족 해방 전선(UNLF)에 패했다. UNLF는 망명 중인 아민 반대파 우간다인들에 의해 결성된 정치 연합으로, 그 무장 부대는 우간다 민족 해방군(UNLA)이었다.[5][6] 캄팔라 함락 과정에서 아민은 축출되어 국가를 탈출했고, 탄자니아는 UNLF를 설치했다.

불안정한 UNLF 정부는 1979년 4월부터 1980년 12월까지 우간다를 임시 통치했다. 한편, 자이르수단으로 도피한 아민 충성파는 재편성하여 우간다 장악을 위해 전쟁을 재개할 준비를 했다. 오보테는 권력을 되찾을 계획을 세웠다.

요웨리 무세베니와 그의 지지자들은 우간다 남서부로 후퇴하여 대중 저항군(Popular Resistance Army, PRA)를 조직했다. 대중저항군은 이후 유수프 룰레가 이끌던 우간다 자유 전사(Uganda Freedom Fighters, UFF)와 합쳐져 민족 저항군(NRA)과 민족 저항 운동(National Resistance Movement, NRM)을 만들었다.[31] 이후 우간다 민족 구조 전선(Uganda National Rescue Front, UNRF) 및 전(前) 우간다 국군(Former Uganda National Army, FUNA)이 나일강 서부에서 이디 아민 지지자들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우간다 민족 해방군과 싸웠다.[32]

2. 2. 1980년 우간다 총선

1980년 12월 우간다 총선 직전, 이디 아민 충성파들은 우간다 민족 해방군(UNLA)에 대항하는 공세를 시작했다. 이들은 밀턴 오보테가 서닐 지역을 순회하던 중 매복하여 오보테와 UNLA 고위 사령관 티토 오켈로를 거의 죽일 뻔했다. 이들은 코보코를 탈환하고 서닐 지역에서 점령 지역을 장악하여 평행 정부를 수립했다. 약 한 달간의 전투 후, 반군은 서닐 대부분을 점령했지만, 일부 도시만 UNLA의 통제하에 남았다.[31] 그러나 많은 반군들은 UNLA와 싸우는 것보다 지역을 약탈하고 전리품을 자이르수단으로 가져가는 데 더 집중했다.[32]

한편, 우간다 민족 해방 전선(UNLF) 정부는 자체적인 분열을 겪었다. UNLA가 다양한 반(反)아민 반군 집단의 느슨한 동맹에서 정규군으로 변모하면서, 서로 다른 정파들은 자신의 충성스러운 사람들이 새로운 군대에 존재하고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도록 하려고 했다. 오보테는 라이벌들을, 특히 요웨리 무세베니를 제압했고, 5,000명의 병력을 가진 키코시 마알룸 부대를 UNLA의 핵심으로 삼았다. 반대로, 무세베니의 9,000명의 FRONASA 전투원 중 4,000명만이 새로운 군대에 합류할 수 있었고, 이들은 여러 부대에 배치되었다. 또한, FRONASA는 자체 무기를 포기해야 했다. 동시에 UNLA는 급속히 확장되었고, 새로 모집된 대부분은 오보테를 지지하는 민족 집단 출신이었다. 그 결과, 정부와 군대에서 오보테 지지 세력의 권력이 강화되었다.[33][34][35]

3. 전쟁의 전개

우간다 내전은 크게 서부 나일 반란과 남부 반란으로 나눌 수 있다.

폴 카가메 등 르완다 출신 망명자들은 요웨리 무세베니의 민족 저항군(NRA) 편에서 싸웠으며, 카가메는 무세베니의 방첩 부대장이 되었다.[33][34] 나일강 서부에서는 이디 아민 지지자들을 중심으로 우간다 민족 구조 전선(UNRF)과 전(前) 우간다 국군(FUNA)이 결성되어 우간다 민족 해방군(UNLA)과 대립했다.[32]

1982년 11월, NRA, UFM, UNRF, 나일 연대는 "우간다 인민 전선"(UPF)을 결성하고 망명 정치인 고드프리 비나이사를 수장으로 임명했으나, 비나이사의 자이르 침공 시도는 실패했다. 1982년 4월, UNLA군은 님울레 근처 국경을 넘어 수단군 부대에 사격을 가하며 수단으로 전투가 확대되기도 했다.

1981년 말, UNLA는 1만 5천 명이 넘는 병력으로 확장되었지만 훈련 부족과 부패에 시달렸다. 그럼에도 UNLA는 반군을 저지하며 여러 차례 승리했고, 1982년 2월 23일에는 캄팔라에 대한 UFM의 대규모 습격을 격퇴했다.

1981년 우간다 북서부에는 4개의 반군 세력이 활동했는데, 이들은 모두 아민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고 주장했다. 펠릭스 오나마가 설립한 "나일 연대"(NR)는 서닐 반군 단체였다. UNRF는 부패로 지지를 잃었고, 1981년 UNLA는 서닐 서부로 반격을 가해 많은 잔혹 행위를 저질렀다. 1981년 12월 UNLA는 서닐 대부분을 탈환했지만, 반군을 완전히 축출하지는 못했다.[19]

밀턴 오보테는 루웬주루루 운동에 대해서는 화해적인 접근을 하여 평화 협정을 체결하고 루웬주루루 지역에 자치권을 부여했다. 1982년 12월, 존 찰스 오골레는 서부 닐 강 반군에 대한 반란 진압 작전을 시작하여 성공을 거두었으나, 이 과정에서 UNLA는 광범위한 파괴와 학살을 자행하여 26만 명이 피난했다. UNRF는 거의 파괴되어 서부 닐 강 지역을 떠났다.

3. 1. 남부 반란 (1981-1986)

요웨리 무세베니와 그의 지지자들은 우간다 남서부로 후퇴하여 대중 저항군(PRA)을 조직했다. 대중저항군은 이후 유수프 룰레가 이끌던 우간다 자유 전사(UFF)와 합쳐져 민족 저항군(NRA)과 이의 정치 조직인 민족 저항 운동(NRM)을 만들었다.[31]

1981년 2월 6일, 중부 무벤데 구(區)에 있던 군사 시설에 대한 공격으로 내전이 시작되었다. 모잠비크에서 모잠비크 해방 전선과 게릴라전을 치렀던 경험이 있는 무세베니와, 탄자니아에서 아민과 싸우기 위해 조직된 민족 구원 전선은 오보테 정부에 적대적인 시골 지역, 특히 중부와 서부 부간다 및 서부 우간다의 안콜레, 부뇨로 등에서 군사 행동을 벌였다.[35]

대부분의 전투는 스티븐 카샤카의 A중대, 조람 무구메의 B중대, 페코스 쿠티사의 C중대 등 기동대가 수행했다. 이 부대들의 지휘는 프레드 르위게마가 맡았으며, 무세베니의 형제 살림 살레가 그를 보조했다.

최초의 반란은 우간다 북서부 서닐 지역에서 발생했다. 전쟁의 진원지는 나중에 캄팔라 북쪽 루웨로 삼각지대로 이동했다.


1980년 12월 선거에서 밀턴 오보테의 우간다 인민회의가 승리하여 오보테는 다시 우간다 대통령이 되었다. 그러나 다른 후보들은 선거 결과에 이의를 제기하며 갈등이 증폭되었다. 여러 정파가 선거 부정을 주장했고, 오보테가 정치 탄압을 시작하자 자신들의 주장이 옳다고 믿었다.

1981년 2월 6일, 중앙 무벤데 지구 카밤바 군영에 대한 PRA의 공격으로 남부에서 적대 행위가 시작되었다. 이 공격은 무기를 탈취하는 것이 목표였는데, 무기고를 점령하는 데는 실패했지만, 무세베니의 전투원들은 후퇴 전에 몇몇 총과 차량을 탈취했다. PRA는 다음 날 경찰서 공격에서 더 큰 성공을 거두었다. 그러나 소규모 반군은 UNLA와 TPDF의 반란 진압 작전 압력을 받았고, 기반이 부족했다. 무세베니는 인민전쟁 전술을 사용했는데, 캄팔라 주변 주민들은 오보테 정부를 북부인들에게만 봉사하는 정권으로 여겼기 때문에 이는 성공적이었다. 초기 반란 중 동정적인 민간인들의 지원 없이는 무세베니 부대는 1981년에 쉽게 분쇄되었을 것이다.

PRA는 제한적인 외국 지원을 받았다. 무세베니 부대의 공격은 "중대"라고 불리는 소규모 이동 부대가 프레드 루위기에마와 살림 살레의 지휘 아래 이루어졌으며, "A" 중대는 스티븐 카샤카, "B" 중대는 요람 무구메, "C" 중대는 페코스 쿠테사가 이끌었다. 카페카에서 작전하는 루타 부대, 키워코 근처 카발레가 부대, 싱고 지역 은크루마 부대 등 소규모 지역 부대도 있었다.[15]

앤드류 카이이라의 UFM은 훈련된 전직 군인들로 구성되어 도시 작전에 집중했다. UFM은 UNLA에 정면으로 맞설 만큼 강하지 않았고, 지도부 경쟁, 조직 부족, 스파이 침투에 취약했다.

북한 김일성(사진)은 부시 전쟁 당시 오보테의 외국 동맹국 중 하나로, 군사 장비와 고문관을 제공했다.


전쟁이 확대되면서 오보테 정부의 생존에는 외국 지원이 필수적이었다. 탄자니아는 약 1만 명의 탄자니아 인민방위군 병사와 1,000명의 경찰을 통해 질서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1981년 6월까지 800~1,000명의 탄자니아 고문만이 우간다에 남아 UNLA에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탄자니아의 철수는 오보테의 입지를 약화시켰다. 오보테는 영국의 민간 군사 기업을 고용하고, 영연방미국에 소규모 보안 고문팀 파견을 설득했다.

오보테의 주요 동맹국 중 하나는 북한이었다. 1981년 말, 우간다 대통령은 북한을 방문하여 군사 지원 협력 협정에 서명했다. 최소 30명의 북한 장교가 우간다 북부 구루에 파견되어 UNLA 병사를 훈련시키고 군사 장비를 수리했다. 1984년까지 약 50명의 북한인이 안보, 정보, 군사 고문으로 활동했다.

우간다 지도. 루웨로 삼각지대의 대략적인 지역.


남부 갈등은 더욱 심각해졌다. PRA는 기습 작전을 계속했다. 1981년 4월 5일, 카키리 UNLA 초소를 점령하여 무기를 탈취했지만, TPDF 부대 대응에 후퇴했다. PRA는 자원봉사자를 모집하여 5월 초까지 약 200명으로 성장했다. 다음 달, 무세베니는 나이로비에서 루레를 만나 PRA와 UFF를 통합하기로 합의했다. 상부 조직은 "국가 저항 운동"(NRM)으로, 무장 부대는 "국가 저항군"(NRA)으로 불렸다.[18] 루레는 NRM 의장, 무세베니는 NRA 고위 사령관 의장이 되었다. UFF는 약했고, 루레는 무장 세력을 얻었으며, 무세베니는 바간다족이 거주하는 루웨로 삼각지대에서 지지를 확보하여 "인민 전쟁"을 확장할 수 있었다. 루웨로 삼각지대는 NRA 주요 작전 지역이 되었지만, 주요 모집 지역은 서부 안콜레였다. 무세베니는 행동 강령을 시행하여 NRA가 규율을 유지하도록 했다.[12] 1981년 12월, NRA는 약 900명으로 성장했다. 무아마르 카다피는 NRA에 제한적인 지원을 제공했지만, 1982년 지원을 중단했다.

우간다 부시 전쟁 당시 전투는 시골에서 벌어졌다(사진: 우간다 중부 엠바지 농지).


1982년 2월 23일, UNLA는 캄팔라에 대한 UFM의 습격을 격퇴하고 큰 피해를 입혔다. UFM은 NRA 장악 지역으로 후퇴했고, UFM 사령관은 무기를 가지고 NRA로 망명했다.

남부에서 UNLA는 루웨로 삼각지대에서 NRA에 대한 반란 진압 작전을 벌여 바간다 민간인 "집단 학살"을 자행했다. 루웨로 삼각지대에 배치된 정부군은 아초리족으로, 남부 주민들의 혐오를 받았다.

1983년 6월 16일, 오보테 정부는 "보난자 작전"을 시작하여 수만 명의 사망자와 이재민을 발생시켰다. 학살 책임은 NRA를 지지한 북부 주민들에게 돌려져 지역 긴장이 고조되었다. UNLA는 UFM의 주요 캠프를 파괴했고, UFM 잔당은 우간다 연방 민주 운동(FEDEMU)을 결성했다.

1983년 말, 오보테 정부는 우간다 대부분을 장악했지만, NRA를 억제할 수 있었다. 오보테 군대는 부족주의, 부패, 내부 경쟁에 시달렸다.

3. 2. 오보테 정부의 대응과 붕괴 (1982-1985)

오보테 정부는 민족 저항군(NRA)을 진압하기 위해 대규모 군사 작전을 펼쳤지만, 민간인 학살과 인권 유린을 자행하여 국제 사회의 비난을 받았다.[19] 1983년 루웨로 삼각지대에서 우간다 민족 해방군(UNLA)이 자행한 바간다 민간인 학살은 "집단 학살"로 불릴 정도로 심각했다.

1983년 6월 16일, 오보테 정부는 UNLA 병력의 최대 절반을 동원한 "보난자 작전"을 시작했다. 이 작전으로 수만 명의 사망자와 이재민이 발생했으며, 전형적인 포위 및 진압 작전의 형태를 띠었다. 학살의 책임은 우간다 북부 주민들에게 돌아갔고, 이는 국가 내 지역적 긴장을 더욱 고조시켰다.

1983년 말, 오보테 정부는 참모총장 데이비드 오이테 오조크의 노력으로 비교적 안정을 유지하고 우간다 대부분을 장악했다. 그러나 UNLA는 부족주의, 부패, 내부 경쟁으로 어려움을 겪었다.[21] 1984년까지 오보테는 3만 5천 명에서 4만 명의 병력을 보유했지만, 제대로 훈련받은 병력은 1만 5천 명에 불과했다. 병사들은 훈련 부족, 낮은 신뢰도, 급여 및 보급품 부족으로 민간인을 괴롭히고 약탈하는 경우가 많았다.

1983년 12월, 오이테 오조크 참모총장이 의문의 비행기 추락 사고로 사망하면서 상황이 급변했다. 그의 죽음으로 UNLA는 와해되기 시작했고, 아콜리족 군인들은 오보테가 랑기족 중심으로 국가 지도부를 채우고 있다고 불만을 품었다.

1985년 6월, 진자와 다른 지역에서 아콜리 부대가 반란을 일으켰다. 구루에 주둔하던 바질리오 올라라 오켈로 중장은 캄팔라의 새 정부가 아콜리족을 숙청할 것을 우려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1985년 7월, 올라라 오켈로가 이끄는 아콜리 반란군은 캄팔라를 점령하고 오보테를 축출했다. 오보테는 탄자니아를 거쳐 케냐, 잠비아로 망명했다.

3. 3. NRA의 승리와 무세베니 집권 (1986)

1985년, 민족 저항군(NRA)은 대대적인 공세를 시작하여 수도 캄팔라를 함락시키고 오켈로 정권을 무너뜨렸다. NRA는 마사카와 엠바라라의 주요 주둔 도시를 포위하고 점령하여 UNLA를 크게 약화시켰다.[21] 이 과정에서 NRA는 점령 지역에서 새로운 병력을 모집하고 정부군 탈영병을 흡수하여 크게 확장했으며, 1985년 12월에는 병력이 약 10,000명으로 증가했다.[21]

평화 협정이 오켈로 정부와 NRA 사이에 체결되었지만, 양측이 합의된 휴전을 위반하면서 협상은 거의 즉시 결렬되었다.[22] 1986년 1월, NRA는 캄팔라를 함락시켰고, 오켈로 정권은 사실상 종식되었다. 요웨리 무세베니가 1986년 1월 29일에 대통령으로 취임하면서 NRA는 우간다의 새로운 정규군이 되었다.[22] 티토 오켈로는 수단으로 도망쳤다.[22]

패배에도 불구하고 UNLA는 우간다 북부에 남아 있는 지역을 방어하려 했다. 바질리오 올라라-오켈로는 구루와 키트검에서 대규모 동원을 명령, 여자와 소녀를 포함하여 소총을 쥘 수 있는 모든 사람에게 무기를 지급하고 임시 훈련을 실시했다.[22] 한편, NRA는 공세를 계속하여 1월 말까지 진자를 점령하고 2월 초에는 토로로를 점령했다.[22] UNLA는 토로로에서 반격했지만 격퇴되었다. NRA는 카루마와 캄디니에서 UNLA와 연합 서나일 민병대의 강력한 저항에 직면했지만, 격렬한 전투 끝에 UNLA의 방어를 돌파했다.[22] 더 이상 효과적인 저항이 불가능해지자 UNLA는 해체되었고 잔당과 많은 전 정부 관리들은 망명했다. NRA는 1986년 3월에 구루와 키트검을 점령했고, 패배한 아콜리 병사들은 대부분 마을로 돌아갔다.[22]

4. 전쟁의 결과와 영향

밀턴 오보테는 두 번째 축출 후 망명 생활을 했으며, 우간다 정계 복귀를 계획한다는 소문이 있었으나, 2005년 10월 10일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사망하기 직전 우간다 인민회의 지도자직에서 사임했다. 그의 아내 미리아 오보테가 뒤를 이었다. 티토 오켈로는 1993년 요웨리 무세베니에게 사면을 받고 우간다로 돌아올 때까지 케냐에서 망명 생활을 하다가 1996년 캄팔라에서 사망했다.

내전 중 오보테를 지지했음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무세베니 정부와 1986년에 바로 우호적인 관계를 회복했다. 새로운 우간다 군대는 북한으로부터 무기와 훈련을 받았다.[27] 북한의 부시 전쟁 개입은 북부 우간다에서 신비한 군사력의 상징이 되는 장기적인 영향을 미쳤다. 성령운동과 같은 반군들은 무세베니 정부에 대항하는 전쟁에서 북한의 영혼으로부터 도움을 받았다고 주장했다.[27]

4. 1. 인명 피해와 난민 발생

우간다 부시 전쟁으로 전투원과 민간인을 포함하여 약 10만 명에서 50만 명이 우간다 전역에서 사망한 것으로 추산된다.[23][24][25][26]

우간다 전역의 부시 전쟁 희생자들을 위한 수많은 대량학살 무덤 중 하나인 "부툰투물라 전쟁 기념 대량학살 무덤"

4. 2. 정치, 사회적 영향

우간다 부시 전쟁으로 불리는 우간다 내전으로 인해 전투원과 민간인을 포함하여 약 10만 명에서 50만 명이 우간다 전역에서 사망했다.[23][24][25][26] 전반적으로 밀턴 오보테 정권은 이디 아민 정권보다 더 잔혹했고 더 많은 사람들을 살해했다.[23]

국가 저항 운동(NRM)의 집권은 처음에 우간다 국민 상당수에게 불안과 혼란으로 받아들여졌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NRM에 대해 거의 알지 못했고, 새로운 정부가 이전 정권과 마찬가지로 무능하고 불안정할 것이라는 우려가 있었다. 그러나 몇 달 후 많은 우간다인들은 NRM을 긍정적으로 보기 시작했는데, 실제로 NRM이 우간다의 많은 지역에서 안정을 개선하고 질서를 회복하는 데 성공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요웨리 무세베니 정부는 상당한 무장 반대에 직면했다. 국가 저항군(NRA)은 공식적으로 내전에서 승리했지만, 북부에서는 전투가 멈추지 않았다. 여러 반NRA 반군 그룹과 UNLA 잔당이 활동을 계속했으며, 특히 아콜리랜드와 서나일 지역에 큰 영향을 미치는 주요 반란이 발생했다. UNLA의 아콜리 군인들은 무장 해제되지 않았고, 많은 이들이 군인으로서의 삶에 익숙해져 있었다. 그들은 더 이상 농민으로 살기를 원하지 않았고, 새로운 정부와 부족 장로들의 전통적인 통치에도 불만을 품었다. 많은 이들이 극도로 가난했고, 부시 전쟁 이후 북부 우간다에는 경제적, 정치적 혼란이 만연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직 군인들이 모여 산적이 되기 시작했고, 북부의 폭력은 점점 더 악화되었다. 이 지역의 일부 NRA 주둔군은 극도의 잔혹 행위로 대응하여 위기를 잘못 처리했다. 많은 NRA 군인들이 실제로는 선량하게 행동했지만, 군대의 무질서한 요소들이 무세베니 정부의 명성을 훼손했다. 정부가 모든 아콜리 남성을 죽일 계획이라는 소문이 돌기 시작했다. 많은 아콜리 사람들은 NRA가 부시 전쟁 중 루웨로 삼각지대에서 발생한 대량 학살에 대한 복수를 추구한다고 두려워했다. 사실 많은 남부 사람들은 부시 전쟁의 폭력뿐만 아니라 이디 아민의 잔혹한 정권까지도 아콜리 탓으로 돌렸다. 아콜리 사람들이 아민에 의해 소외되었음에도 말이다. 카라모종 출신의 전 UNLA 군인들도 티토 오켈로 정권 붕괴 후 많은 무기를 고향으로 가져가 그 규모와 횟수를 늘려 약탈을 했다.[2] 이러한 일반적인 불안은 북부 우간다에 다시 공공연한 전쟁이 발발하는 데 기여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NRM이 이끄는 정부는 아민과 오보테 정권보다 더 많은 반란에 직면했지만, 모든 반란을 극복했다.

4. 3. 인권 문제

요웨리 무세베니가 이끄는 국가 저항군(NRA)과 밀턴 오보테티토 오켈로 정부군(UNLA) 양측은 전쟁 중 심각한 인권 유린을 자행했다. 민간인 학살, 고문, 강제 이주 등이 빈번하게 발생했다.[23][24][25][26] 특히, UNLA는 루웨로 삼각지대에서 수천 명의 바간다족 민간인을 학살했으며,[28] 75만 명의 민간인을 강제 이주시켰다.[28]

NRA 역시 잔혹 행위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지뢰를 사용하고 아동병사를 징집하는 등 국제적인 비난을 받을 만한 행위들을 저질렀다.[29] 전쟁 초기에는 정부 협력자나 UPC(우간다 인민 회의) 활동가를 처형하기도 했다.

5. 전쟁의 명칭

우간다 부시 전쟁은 여러 다른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우간다 내전'''이라는 용어도 사용되었지만,[3] 이 명칭은 주 저항군 반란과 같은 다른 군사 분쟁에도 사용되었다. 결국 국가저항군(NRM)의 승리로 인해, 1980년부터 1986년까지의 갈등에 대한 여러 대체 명칭은 반군 집단과 주요 작전 지역인 루웨로 삼각지대를 언급한다. 여기에는 '''루웨로 전쟁''', '''국가 저항 운동 혁명''', '''저항 전쟁'''이 포함된다.

6. 대중문화

2018년 영화 《27 건즈》는 우간다 부시 전쟁을 묘사했다. 이 영화는 요웨리 무세베니의 장녀인 나타샤 무세베니 카루기레가 각본과 연출을 맡았다.[30]

참조

[1] 서적 African Frontiers Taylor & Francis
[2] 뉴스 Ugandans Learn to Live With Chronic Tribal War https://www.washingt[...] 1986-01-20
[3] 웹사이트 Uganda: Conflict between Government and Rebel Group Escalates https://www.hrw.org/[...] 2002-10-29
[4] 뉴스 Ugandan Capital Captured https://www.washingt[...] 1979-04-12
[5] 서적 A Dirty War in West Africa: The RUF and the Destruction of Sierra Leone https://books.google[...] Hurst & Company 2005
[6] 뉴스 WHO FOUGHT? Chihandae supplied 16 of the first 27 NRA guns http://www.observer.[...] 2009-07-30
[7] 뉴스 Diary of Anguished Trip To Land of the Damned https://www.washingt[...] 1980-06-07
[8] 웹사이트 Violence and the State in Karamoja: Causes of Conflict, Initiative for Peace https://www.cultural[...] 1998-12
[9] 뉴스 Tribe of Cattle Rustlers Beleaguered https://www.washingt[...] 1979-02-19
[10] 뉴스 Amin's Generals Seek Amnesty for Him https://www.latimes.[...] 1985-08-12
[11] 웹사이트 Peace and conflict in northern Uganda 2002–06 (2010) http://www.c-r.org/a[...]
[12] 뉴스 NRA attack on Kabamba causes tension between rebel groups https://www.monitor.[...] 2016-02-06
[13] 뉴스 How UNLF-AD came to fight alongside Museveni in NRA Bush War https://www.monitor.[...] 2016-06-04
[14] 간행물 A Country Study: The Second Obote Regime: 1981–85 http://lcweb2.loc.go[...] Library of Congress Country Studies
[15] 뉴스 We fought for what was right http://www.monitor.c[...] 2004-07-01
[16] 웹사이트 WHO FOUGHT: Kagame helped Museveni crush internal NRA revolt http://www.observer.[...] 2009-08-06
[17] 웹사이트 Africandictator.org http://www.africandi[...]
[18] 간행물 A Country Study: The Ten-Point Program http://lcweb2.loc.go[...] Library of Congress Country Studies
[19] 웹사이트 UNLA commander John Ogole's account of Luweero war https://www.monitor.[...] 2018-09-22
[20] 뉴스 Uganda: Northern Quagmire https://books.google[...] 1983-11-02
[21] 뉴스 Rebels attack government troops https://www.upi.com/[...] 1985-12-05
[22] 뉴스 Deposed head of state Gen. Tito Okello said he... https://www.upi.com/[...] United Press International 1986-02-13
[23] 서적 Encarta Microsoft
[24] 서적 World Military and Social Expenditures 1987–88 https://archive.org/[...] World Priorities
[25] 뉴스 Uganda's first prime minister, and two-time president, dead at 80 2005-10-10
[26] 서적 International Conflict: A Chronological Encyclopedia of Conflicts and Their Management 1945–1995 Congressional Quarterly
[27] 뉴스 The Ugandan insurgents guided by North Korean spirits https://www.nknews.o[...] 2017-02-22
[28] 서적 Uganda : tarnished pearl of Africa Westview Press 1999
[29] 간행물 Uganda, Landmine Monitor Report http://www.icbl.org/[...] Landmine and Cluster Munition Monitor 2004-05
[30] 잡지 27 Guns trailer out: dawn of a new age-Museveni's revolution https://edge.ug/2018[...] 2018-08-01
[31] 간행물 A Country Study: The Ten-Point Program http://lcweb2.loc.go[...] Library of Congress Country Studies
[32] 웹인용 Peace and conflict in northern Uganda 2002-06 (2010) http://www.c-r.org/a[...]
[33] 웹사이트 http://www.observer.[...]
[34] 웹인용 Africandictator.org http://www.africandi[...] 2012-03-18
[35] 간행물 A Country Study: The Second Obote Regime: 1981-85 http://lcweb2.loc.go[...] Library of Congress Country Studi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